티스토리 뷰

기능검사(Renal function test)

신장 기능 검사
신장 기능 검사

신장의 기능상태를 알아보고, 신장과 관련된 질환들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건강검진을 받게 되면 기본적으로 검사하는 혈액검사인 신장기능 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혈액검사만이라도 정기적으로 하신다면 건강관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또한 기본적인 혈액검사를 통해서 이상징후가 발견되었을 때 상위 검사를 통해 보다 정밀하게 검사하는 것이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좋습니다.

▣ 신장 기능검사 항목

신장 기능 검사 항목
신장 기능 검사 항목

 

◈ BUN(혈중요소질소)

요소는 간에서 단백이 분해될 때 생기는 노폐물로, 혈액을 통해 신장에 도달하여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몸 안에서 생산된 요소의 대부분은 신장에서 제거되므로 혈액 속의 요소질소 농도를 확인함으로써 신장이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reatinine(크레아티닌)

크레아티닌은 근육에서 생산되는 노폐물로, 대부분 신장에서 제거되므로 혈액 안의 크레아티닌 농도는 신장 기능을 보여주는 지표가 됩니다. 생산되는 농도는 근육의 양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며, 혈액 내의 크레아티닌 농도를 확인합니다.

◈ GFR(Glomerular filtration rate, 사구체여과율)

신장 내의 미세 필터인 사구체는 노폐물을 제거하고 몸 안의 주요 성분들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사구체여과율은 사구체에 의해 분당 걸러지는 혈액의 양을 말하며, 신장 기능을 반영합니다.

◈ CrCl(Creatinine clearance, CCR, 크레아티닌 청소율)

신장에서 제거되는 크레아티닌의 양을 이용하여 사구체여과율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사구체가 손상되거나 신장으로의 혈액 순환이 감소되면 제거되는 크레아티닌이 적고 사구체가 분당 여과할 수 있는 능력 또한 감소됩니다. 이를 토대로 24시간 동안 만들어진 소변을 통해 여과된 크레아티닌을 확인하여 신장 내 사구체여과율을 확인합니다. 

◈ B/C ratio (BUN/Cr 비율계산식)

BUN과 creatinine의 비율로 혈중 BUN / creatinine 비율은 10:1 ~20:1 사이를 유지하는 게 정상입니다.

 

▣ 검사

환자의 정맥에서 채혈된 혈액검체로 검사를 시행
환자의 정맥에서 채혈된 혈액검체로 검사를 시행

환자의 정맥에서 채혈된 혈액검체로 검사를 시행합니다. 크레아티닌 청소율 검사는 혈액 검체와 더불어 24시간 동안 모은 소변 검체를 이용하여 검사를 시행합니다.

 

▶ 보건소 기준 신장 기능검사 비용

혈액검사로 검사항목은 ☞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요산

비용은  ☞ 2,600원정도(각 보건소 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 종합 혈액검사의 경우 병원마다 다르지만 대략 10만원 정도 든다고 합니다.

 

 

 

 

 

▣ 검사결과

정상범위  ▼

BUN: 10~25 mg/dL
Creatinine: 0.7~1.4 mg/dL
GFR: ≥ 60 ml/min/1.73m2

 

◈ BUN(혈액요소질소)

높아진 BUN 농도는 신장 기능의 저하를 의미하며, 급성 혹은 만성 신장질환을 뜻합니다. 이외에도 울혈성심부전, 쇼크, 신장 혈류 저하, 위장관 출혈, 탈수 등의 경우에도 농도가 증가합니다. 낮은 BUN 농도는 심한 간질환, 정상 임신, 영양실조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Creatinine(크레아티닌)

혈액 내 크레아티닌의 증가는 신장 내 혈관 손상, 신장의 세균 감염, 세뇨관 손상, 신장 결석, 요관 폐색, 신장으로의 혈류 감소, 전립선 질환 등을 의미합니다. 

◈ GFR(사구체여과율)

사구체여과율의 감소는 신장 내 사구체의 기능 저하로, 신장 기능이 감소했음을 의미합니다.
CrCl(크레아티닌 청소율): 크레아티닌 청소율의 감소는 사구체여과율의 감소를 의미합니다.

 

 

 

 

 

 

 

 

 

▣ 신장기능 저하의 경우 사구체의 여과율의 감소 정도에 따라 신장기능 저하 정도

신장 기능 저하
신장 기능 저하

▣ 신장기능 저하의 대표증상

 

1. 하지부종 (발목과 발)

2.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

3. 무기력증, 피곤함 등 기능저하

4. 소변 배변 시 통증

5. 허리 부분 통증 및 근육경련

 

▣ 신장기능을 알 수 있는 검사항목

신장기능을 알 수 있는 검사항목
신장기능을 알 수 있는 검사항목

 

1. 신장기능검사 ☞ BUN, creatine, B/C ratlo

2. 복부초음파 ☞ 간, 담낭, 신장, 췌장, 비장 5대 장기

3. 소변검사 ☞ 요단백, 요잠혈 등 10여 종

4. 일반혈액검사 ☞ 신장질환, 탈수 등 10여 종

 

  출처 <건강검진정보, 서울 아산병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