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건강에 유익한 정보
[심뇌혈관질환 B] 30대 이상부터 심뇌혈관계 질환 위험 증가 시작ㅣ내 혈관 3대 숫자 ㅣ "지금 확인하세요!!!"
hopeful 2022. 10. 22. 23:275. 연령에 따른 심뇌혈관 위험도 ☞ 젊은 나이는 심뇌혈관질환이 왜 안 생기죠?
“30대 이상부터 심뇌혈관계 질환 위험이 증가하기 시작하므로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에 대하여 20~30대 젊은 나이부터
꾸준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령의 증가는 교정이 불가능한 위험인자입니다.
30대 이상 성인부터 심뇌혈관계 질환 위험이 증가하기 시작합니다.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이 생긴 지 10여 년이 지나면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각종 심뇌혈관계 합병증도 증가합니다.
또한 고혈압/이상지질혈증 및 협심증/심근경색증/뇌졸중 등의 모든 심뇌혈관계질환은 남녀 모두 40대 이상부터 급격히 증가하게 됩니다.
30대에서 심뇌혈관계 질환의 유병률이 10% 정도이지만, 40대에선 약 20%, 50대에선 약 40%, 그리고 60대 이상에서는 50% 이상에서 각 종 심뇌혈관계 질환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정이 가능한 위험인자인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을 20~30대 젊은 나이부터 적절한 수준으로 꾸준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흡연을 한다면 금연하고, 비만이나 운동부족인 경우 체중조절이나 적절한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아버님이나 어머님이 40~50대의 젊은 나이에 관상동맥질환을 앓은 것처럼 교정이 불가능한 주요 심뇌혈관계 위험인자가 있다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깊은 관심을 들여 본인의 혈압이나 콜레스테롤 수치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6. 위험인자 개수에 따른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치료 목표
“같은 수치의 혈압이나 콜레스테롤 수치라도, 가지고 있는 위험인자 개수에 따라서,
어떤 사람은 바로 고혈압 약제와 이상지질혈증 약제 2가지를 먹는 것이 필요하고,
다른 사람은 약제 사용 없이 운동과 식이요법만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홍길동”과 “임꺽정”은 42세 고등학교 동창입니다.
건강검진에서 측정한 혈압이 평균 144/92 로 같다면, 치료도 똑같이 할까요?
▶ 홍길동: 현재 담배를 피움, 아버지가 50세에 심근경색증으로 스텐트 치료를 받으신 적이 있음.
총 콜레스테롤 수치 250 mg/dL.
▶ 임꺽정: 담배를 피우지 않음, 부모님 모두 건강, 총 콜레스테롤 수치 180 mg/dL.
혈압 수치는 140/90이상으로 홍길동과 임꺽정은 고혈압이지만,
“홍길동”의 경우
조기 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흡연/총콜레스테롤 220 mg/dL이상으로 고혈압 이외에 총 3가지 이상의 심뇌혈관계 위험인자가 있기 때문에, 향후 10년 안에 각종 심뇌혈관계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15% 이상인 고위험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혈압은 적극적인 약물치료로 130/80보다 낮게 조절하고 관리해야 하며, 콜레스테롤도 자세한 검사를 한 후 LDL 콜레스테롤을 최소한 130 mg/dL 아래로 조절하기 위해 이상지질혈증 약제 복용을 바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운동과 식이요법을 반드시 동반해야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반면, “임꺽정”의 경우
혈압이 높다는 것 이외에 위험인자가 없으므로, 향후 10년안에 심뇌혈관계 합병증 발생 위험이 5% 미만인 최저 위험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고혈압은 140/90보다 낮게 유지하면 되므로, 처음 3~6개월간은 고혈압 약제 사용 없이 운동과 식이요법을 먼저 시작해 볼 수 있습니다. 이후에도 140/90 아래로 조절이 되지 않는다면, 그때 약제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만, 144/92에서 140/90 아래로 조절하는 것은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비교적 쉽게 달성할 수 있는 목표입니다.
주요 위험인자가 고혈압 1 가지만 있으므로 콜레스테롤도 LDL 콜레스테롤을 160 mg/dL 이하로만 조절하면 되므로 약제 사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같은144/92의 고혈압이라도, 가지고 있는 위험인자 개수에 따라서, 어떤 사람은 바로 고혈압 약제와 이상지질혈증 약제 2가지를 먹는 것이 필요하고, 다른 사람은 약제 사용 없이 운동과 식이요법만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7. 나는 심뇌혈관 위험인자가 몇 개가 있을까요?
“담배를 피운다면 금연하고,
꾸준한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해 체중을 관리하는 등
20~30대부터 좋은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혈압이나 이상지질혈증은 흡연이나 운동부족, 비만과 같은 위험인자에 해당합니다.
같은 고혈압이나 이상지질혈증 수치라도 동반된 심뇌혈관계 위험인자 개수에 따라, 10년 후 심근경색증/뇌졸중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5% 미만의 최저 위험 군부터 15% 이상인 고위험군까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40대 미만의 젊은 나이에서는 여러 가지 위험인자가 있더라도 각 종 심뇌혈관계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담배를 피운다면 조금이라도 빨리 금연하고, 꾸준한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해 체중을 관리하는 등 20~30대부터 좋은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내가 이미 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처럼 교정할 수 없는 위험인자가 있다면, 아직 고혈압도 아니고(140/90 이하), 콜레스테롤 수치도 정상일지라도 꾸준한 운동과 식이요법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바로 “내가 가지고 있는 위험인자는 몇가지일까?”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건강에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색전증] 폐 색전증의 개념ㅣ재발예방ㅣ혈전 (0) | 2022.10.23 |
---|---|
[심뇌혈관질환 A] 30대 이상부터 심뇌혈관계 질환 위험 증가 시작ㅣ내 혈관 3대 숫자 ㅣ "지금 확인하세요!!!" (0) | 2022.10.23 |
[다이어트] 한의사의 일상 다이어트 ㅣ 누룽지커피 ㅣ 근육보험ㅣ혈관회춘 (0) | 2022.10.22 |
[호흡기질환]환절기ㅣ감기인가?ㅣ관리하자 (0) | 2022.10.21 |
[프로폴리스]면역력상승ㅣ프로폴리스 효능ㅣ프로폴리스 효과적인 사용법ㅣ염증 이겨내는 신의 선물ㅣ백혈병 (2) | 202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