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결명자에 관한 이야기
어느 옛날 장터에서 아들을 잃은 어머니가 밤 낮 없이 슬픔에 잠겨 너무 울어서 눈이 짓무르고 시력까지 잃게 되었다고 한다. 다행히 아들이 출세해서 어머니를 찾았으나 시력을 잃은 어머니는 아들을 볼 수가 없었다. 아들은 어머니의 시력 회복을 위해서 방방곡곡 눈에 좋다는 것을 찾아 헤매다 어느 날 한 마을에 도착하니 백발노인이 바느질을 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되어 눈이 밝은 이유를 묻고 사정 이야기를 했더니 노인이 다락에서 씨앗을 내주었는데 그게 바로 '결명자'이었다. 그것을 심어서 지극정성 키워 어머니께 씨앗을 차로 끓여 드렸더니 1년도 안되어 어머니가 눈을 번쩍 떴다고 한다.
'결명자' 말 그대로 눈을 밝게 하는 씨앗이라는 거다.
▶ 결명자 어디에 좋을까요?
간독소 간염 제거, 모든 눈병에 요약, 당뇨, 고혈압, 지방간, 변비, 위장병에도 효능
▶ 결명자의 장점
가격이 저렴하고 어디서든 구입이 가능하다. 볶은 결명자로 차를 끓여 마시면 고소하니 볶은 것을 구입.
▶ 각 질환별로 '결명자' 복용법
1. 눈 건강 : 시력저하, 안구건조증, 눈물, 충혈, 녹내장
결명자 10g, 구기자 10g을 물 1L에 30분 은근하게 끓여 물처럼 수시로(식전, 식후 관계없음) 3달만 꾸준히 복용하면 눈이 맑아지고 시원해지는 것을 느낄 수가 있다.
[결명자 베개]
볶지 않은 생 결명자를 넣어 베개를 만들어 사용하면 머리를 맑게 하고 잠자리를 편안하게 하며 눈에 또한 좋다. 결명자는 간에 쌓여있는 열을 시원하게 내려주고 시신경을 보호한다.
2. 간 건강 : 간 피로, 간경변, 간열, 지방간 개선
결명자 10g, 구기자 10g을 물 1L에 30분 은근하게 끓여 물처럼 수시로 복용하면 간에 열을 내려서 청간하고 간의 효소와 지질을 개선해 주는데 큰 도움이 된다.
3. 고혈압 : 고혈압, 동맥경화, LDL을 내려주고, 심혈관병, 뇌 혈관병을 개선
결명자 10g, 구기자 10g을(결명자 잎 3g을 추가하면 효능이 더 좋다) 물 1L에 30분 은근하게 끓여 물처럼 수시로 복용하면 좋다. 결명자의 '안드라 퀴논' 성분이 나쁜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동맥경화, 고혈압 등 혈관질환을 개선시킨다.
4. 당뇨 : 췌장 인슐린 조절 향상으로 당뇨 개선, 당뇨 전 단계일 때 큰 도움이 된다.
결명자 10g, 구기자 10g을 (여주 3g을 추가하면 효능이 더 좋다) 물 1L에 30분 은근하게 끓여 물처럼 수시로 복용하면 좋다.
5. 백내장, 녹내장 : 간 열 제거로 백내장, 녹내장 개선
볶지 않은 '생 결명자' 30g을 물 1L에 진하게 끓여 1일 3회 이상 한 달 동안 눈을 씻어준다.
[결명자 베개]
볶지 않은 생 결명자를 넣어 베개를 만들어 사용하면 머리를 맑게 하고 잠자리를 편안하게 하며 눈에 또한 좋다. 결명자는 간에 쌓여있는 열을 시원하게 내려주고 시신경을 보호한다.
6. 두통 : 만성두통, 고혈압 두통 신경성 두통
결명자 10g, 구기자 10g을 물 1L에 30분 은근하게 끓여 물처럼 수시로 복용하면 좋다.
[결명자 베개]
볶지 않은 생 결명자를 넣어 베개를 만들어 사용하면 머리를 맑게 하고 잠자리를 편안하게 하며 눈에 또한 좋다. 결명자는 간에 쌓여있는 열을 시원하게 내려주고 시신경을 보호하고 두통이 사라진다.
7. 위 건강 : 위궤양, 위염, 속 쓰림, 위산 역류 개선
결명자 10g, 구기자 10g을 물 1L에 30분 은근하게 끓여 물처럼 수시로 복용하면 좋으며 단 위장이 차거나 잘 체하는 사람은 꼭 생강을 함께 넣어 끓여 마시면 좋다. 그리고 만성설사나 변이 무른 사람은 장기 복용하면 기력 저하가 오므로 조심해야 한다.
'건강에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세포] 암 세포가 좋아하는 주식과ㅣ암 세포를 굶기는 식단ㅣ삼색채소 만드는 방법 (0) | 2022.10.17 |
---|---|
[청폐탕] 미세먼지가 인체에 끼치는 영향ㅣ코로나 폐질환ㅣ폐 디톡스ㅣ마른기침과 가래 (0) | 2022.03.09 |
[혈전]혈전이 생기면 나타나는 징후 7가지ㅣ혈액순환 돕는 운동과 차 (0) | 2021.08.21 |
[혈전] 혈전과 혈전의 위험성ㅣ혈전 예방식품ㅣ코로나백신접종과 혈전증ㅣ청경채주스 만드는법 (0) | 2021.08.07 |
[대장암] 적색육 DNA 손상 일으키는 돌연변이 패턴 확인ㅣ적색육과 백색육의 차이ㅣ오리고기는 적색육일까.백색육일까? (0) | 2021.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