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1. 혈압의 정의와 역할
  2. 고혈압 진단 기준의 변화
  3. 고혈압의 실제 원인
  4. 약물 의존적 혈압 관리의 문제점
  5. 기능 의학적 혈압 관리 방법
  6. 혈관 건강을 위한 생활 습관

혈압의 정의와 역할

 

혈압은 단순히 심장에서 혈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압력입니다. 정상적인 혈액 순환은 온몸의 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세포에서 발생한 노폐물을 제거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혈액이 전신을 한 바퀴 순환하는 데 1분도 걸리지 않습니다.

 

▶ 혈압의 주요 역할

  • 전신의 세포에 산소 공급
  • 세포 대사에 필요한 영양분 전달
  • 세포에서 발생한 노폐물 제거
  • 체온 조절 및 면역 체계 지원

고혈압 진단 기준의 변화

 

지난 수십 년간 고혈압의 진단 기준은 계속 낮아져 왔습니다. 이로 인해 고혈압 환자 수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시기 고혈압 진단 기준 비고

20-30년 전 더 높은 기준 현재보다 완화된 기준 적용
현재 130/80 mmHg 이상 미국 심장협회(AHA) 기준

2017년 미국심장협회(AHA)와 미국심장학회(ACC)는 고혈압 진단 기준을 140/90 mmHg에서 130/80 mmHg로 낮췄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에서만 수천만 명의 성인이 하루아침에 고혈압 환자가 되었습니다.

 

 

▶  미국심장협회 고혈압 진단 기준

 

Understanding Blood Pressure Readings

Use our blood pressure chart to learn what your blood pressure numbers mean. Systolic, diastolic?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helps you understand the various levels of blood pressure and how high blood pressure or hypertension is defined. Also learn ab

www.heart.org

 

 

국민건강보험공단 –생활 속 증상별(혈압상승) 건강정보 확인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 생활 속 증상별(혈압상승) 건강정보 확인해보기!

tv.naver.com

 

고혈압의 실제 원인

 

기능 의학적 관점에서 고혈압은 '원인'이 아닌 '결과'입니다. 혈관 상태가 나빠지면 몸은 혈액 순환을 유지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압력을 높이게 됩니다.

 

▶ 혈관 손상의 주요 원인

  1. 활성산소 증가: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해 혈관 내피세포를 손상시킵니다.
  2. 혈당 관리 불량: 높은 혈당은 혈관 벽에 손상을 주고 동맥경화를 촉진합니다.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 혈관이 두꺼워지고 딱딱해짐
  • 혈관 내부에 플라크가 쌓임
  • 혈액 순환이 저하됨
  • 심장이 더 강하게 혈액을 펌핑해야 함

약물 의존적 혈압 관리의 문제점

 

▶ 혈압약만으로 혈압을 조절하면 증상은 가려지지만 근본 원인은 해결되지 않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혈액 순환 부족: 인위적으로 혈압을 낮추면 필요한 곳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에너지 저하: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않아 피로감이 증가합니다.
  • 인지 기능 저하: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여 장기적으로 치매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근본 원인 지속: 혈관 손상 원인이 해결되지 않아 심혈관 질환 위험이 계속됩니다.

약 없이 혈압 내려가는데 집중

▶ 약 없이 혈압을 낮추려면 무조건 아래 세 가지에 집중하세요.

 

핵심 전략

  1. 혈관 청소: 킬레이션, 항산화물질
  2. 혈당 안정화: 탄수화물 줄이고 단백질 중심
  3. 산소 공급력 향상: 유산소 운동 + 폐 기능 강화

▶ 고혈압은 조절이 아닌 '복원'이 핵심

고혈압 관리는 ‘수치 조절’이 아니라 몸 기능을 원래대로 복원시키는 작업입니다.

일반 치료 방식 기능의학 방식
혈압을 낮추는 약 복용 혈관과 혈액의 기능 복원
증상 조절 중심 원인 제거 중심
단기 효과 장기 건강 기반

 

기능 의학적 혈압 관리 방법

 

▶ 기능 의학에서는 고혈압 관리를 위해 단계적인 접근법을 취합니다

1. 현재 약물 유지: 갑작스러운 약물 중단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2. 혈관 청소: 킬레이션(Chelation) 요법 등을 통해 혈관을 깨끗하게 합니다.

킬레이션 치료란?

중금속과 노폐물로 막힌 혈관 벽을 약물을 통해 녹여서 배출시키는 치료입니다.

효과 설명
혈류 개선 막힌 혈관 청소로 피가 잘 돌게 됨
산소 공급 증가 말초까지 산소 전달 향상
염증 감소 활성산소 제거로 혈관 손상 억제

이 치료를 통해 약 없이도 혈압이 떨어지는 체질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3. 혈액 순환 개선: 혈액을 맑게 하고 순환을 촉진합니다.

4. 약물 테이퍼링: 혈압이 자연스럽게 낮아지면 점진적으로 약물 복용 빈도를 줄입니다.

 

테이퍼링(Tapering) 전략 

기능의학에서는 약을 바로 끊지 않습니다.
점진적으로 약 복용을 줄이며, 동시에 몸의 기능을 개선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기간 복용 방법
1단계 매일 복용 → 격일 복용 (1개월)
2단계 격일 복용 → 이틀에 한 번 복용 (1개월)
3단계 이후 상태 확인 후 완전 중단

이런 전략을 통해 자연스럽게 약을 끊을 수 있는 건강한 몸을 만들어갑니다.

 

▶ 약 끊기 전 반드시 점검해야 할 3가지

  1. 기초 혈압 패턴 분석
    • 아침 혈압, 스트레스 반응 등 체크
  2. 혈관 나이 검사
    • 실제 나이보다 혈관이 더 늙었는지 점검
  3. 생활습관 진단표 작성
    • 식사/수면/스트레스 패턴 점검

👉 이 3가지를 바탕으로 의사와 상담 후 '테이퍼링'을 진행해야 안전합니다.

 

5. 지속적인 모니터링: 혈압을 정기적으로 측정하며 상태를 관찰합니다.

 

  대한고혈압학회

 

대한고혈압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학회지, 연구과제 공모, 기초의학, 임상의학 분야, 고혈압 연구 안내.

www.koreanhypertension.org

 

혈관 건강을 위한 생활 습관

▶ 혈관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생활 습관 변화는 필수적입니다

  • 항산화 식품 섭취: 베리류, 녹색 잎채소, 견과류 등 항산화 물질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합니다.
  • 규칙적인 운동: 중간 강도의 유산소 운동이 혈관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 스트레스 관리: 명상, 요가, 충분한 수면 등으로 스트레스를 줄입니다.
  • 혈당 관리: 정제된 탄수화물과 가공식품 섭취를 제한합니다.
  • 수분 섭취: 충분한 물 섭취로 혈액 점도를 낮춥니다.
  • 금연 및 알코올 제한: 담배와 과도한 알코올은 혈관에 직접적인 손상을 줍니다.

이러한 종합적인 접근법을 통해 혈관 건강을 개선하고 자연스럽게 혈압을 정상화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 관리는 단순히 수치를 낮추는 것이 아닌, 혈관 건강을 회복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 개인에 따라 치료 후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사전에 의료진과 상담 후 치료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