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활성산소 잡아주는 기적의 원소 셀레늄(Selenium)

고대 이집트의 슈퍼 곡물로 화제가 된 ‘카무트 쌀’과 지구상 가장 완벽한 열매라고 칭송받는 ‘브라질너트’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항산화 미네랄 ‘셀레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셀레늄은 발견 초기 독성 물질이라는 오명을 쓰고 100여 년간 잊혀 있다가,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체내 항산화 효소의 필수 구성성분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후 셀레늄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어 1978년 세계보건기구(WHO)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서는 셀레늄을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필수 미네랄’로 인정했으며, ‘기적의 원소, 꿈의 원소, 푸른빛의 마법사’라는 영예로운 별칭 또한 얻게 되었습니다.

< 셀레늄이란? >

셀레늄은 체내의 여러 작용에 필수적인 무기질(미네랄)이며 특히 비타민 E보다 2,000배 정도 강력한 항산화력(산화를 억제하는 능력)이 셀레늄의 특징입니다.

셀레늄은 1817년에 스웨덴의 화학자인 베르젤리우스(Bezelius)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고 1957년 K. 슈바르츠 박사가 인체의 면역기능을 강화하고 항산화 작용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필수물질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사람과 동물에 존재하는 많은 효소들이 그 기능을 위해 셀레늄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셀레늄 의존효소 단백질(Selenoproteins)이라 합니다. 셀레늄이 결핍되면 이러한 효소 단백질의 기능이 손실되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특히, 근육의 약화나 관절 연골의 퇴행 등이 많이 발생합니다. 셀레늄이 결핍되면 셀레늄 의존 효소 단백질중에서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 기능의 손상이 가장 큽니다.

이는 노화의 원인 활성산소가 발생되는데 나쁜 활성산소를 세포에서 제거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항산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효소인 글루타치온 복합체의 주요 성분이 '셀레늄'입니다.

 

항산화란 

‘살아 숨 쉬는 한’ 끊임없이 생성되어 인체를 공격하는 활성산소에 대한 인체의 방어 시스템입니다. 우리가 섭취한 셀레늄은 체내에서 다양한 항산화 효소의 구성성분이 되며, 이러한 효소를 일컬어 셀레늄 의존 효소(selenoenzyme)라고 하는데요. 인체의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로서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막을 보호하는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GPx)’도 셀레늄 의존 효소니다.

< 셀레늄 부족하면 >

셀레늄 권장 이유는  신체에서 스스로 만들어 낼 수 없기 때문에 식품으로 섭취해 줘야 하는데 화학비료의 사용으로 토양에서 셀레늄 등 무기질의 함량이 낮아져 식품으로 셀레늄 섭취에 어려운 부분도 있습니다.

1. 활성산소의 세포공격

셀레늄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각종 효소들의 기능에 반드시 필요한 미네랄입니다. 부족시에는 세포 그리고 DNA에 손상이 누적되게 됩니다. DNA에 손상이 누적되면 암세포로의 변이가 일어날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활성산소의 생성이 유난히 많은 사람은 셀레늄 섭취를 권장합니다.

 

☆ 활성산소의 생성이 유난히 많은 사람

① 암환자

② 갑상선질환(저하증, 항진증 모두 포함)

③ 염증성질환(류머티즘, 아토피, 천식 등)

④ 심한 스트레스 만성피로

 

2. 심혈관질환

셀레늄의 혈중 농도가 낮을 경우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반영하듯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류이 더 높다고 합니다. 이는 셀레늄이 관여하는 효소들이 지방의 과산화를 감소시키고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이라는 신호전달물질의 대사에 영향을 미쳐서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줄여주는데 기인합니다. 

 

3. 당뇨병

당뇨병 환자는 대부분 혈중 셀레늄 수치가 낮다고 합니다. 셀레늄 결핍으로 당뇨가 발생되는 것은 아니지만, 셀레늄을 보충해 주면 높은 활성산소가 제거되어 세포를 보호해 준다고 알려주었습니다.

 

4. 근육통, 근육소모, 심근증

셀레늄이 부족하면 근육손실이 일어나고 심한 근육통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근증은 심장 근윤의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심장질환으로 셀레늄 부족과 연관이 있습니다.

 

< 셀레늄의 역할 >

1. 갑상선 건강

갑상선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내분비선으로, 갑상선 호르몬을 만들어 저장하고 혈액 내로 분비합니다. 갑상선 호르몬은 신체의 대사과정을 촉진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체온을 유지하는 매우 중대한 역할을 수행하죠. 그런데 이러한 갑상선 호르몬의 대사에 셀레늄이 필수적이라는 중요한 사실입니다.

갑상선 기능이 과도하게 활성화된 경우는 갑상선 기능항진증이라 하며 기능을 제대로 못할 경우 갑상선기능 저하증이 발생을 하는데 각종 논문에서도 셀레늄이 부족하면 요오드 결핍에 의한 갑상선기능 저하가 심하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2. 간 건강

간 해독과정에서 글루타치온이 매우 중요하며 셀레늄이 글루타치온의 활성하는 것을 도와줍니다. 글루타치온(GSH)은 특히 간세포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약물, 알코올의의 해독 과정에 사용되며 간염의 치료보조제로도 사용됩니다. 간 해독되는 과정 중 2차 과정에서 글루타치온 포함 배설이라는 과정이 있는데 배출하기 힘든 독성 물질을 배출하기 쉽게 만드는 역할을 글루타지온과 셀레늄이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간 건강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영양 조합입니다.

3. 항암효과

셀레늄은 면역력이 약하거나 암 가족력이 있는 사람에게 더 효과적이고 특히 간, 전립선, 결장, 폐암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하며 꾸준히 섭취하면 암치료에 큰 효과가 나타났다고 합니다.

4. 글루타치온의 생성을 도움

글루타치온은 스트레스, 감염, 방사선과 각종 질병으로 인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고 회복하는 아주 중요한 성분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글루타치온의 생성이 줄어드는데 셀레늄은 강력한 항산화제로 작용하여 우리 몸에서 글루타치온의 생성을 돕습니다.

 

<셀레늄이 풍부한 음식 >

1. 브라질너트

셀레늄이 풍부한 브라질너트 100g당 약 1917mcg의 셀레늄이 함유되어 있어서 하루 권장량의 3458%에 해당되니 하루 1알 섭취를 권장드립니다.

 

2. 카무트

생김새는 현미와 비슷하여 카무트 쌀이라고도 부르고 있으며 맛은 쌀과 견과류의 중간쯤 됩니다. 카무트는 100g당 60 ~ 80 mcg정도의 셀레늄이 함유되어 있어서 브리질 너트보다는 함량이 높진 않아도 다른 일반 식품에 비해 높기 때문에 하루 100g 정도만 섭취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https://07-happyhappypop.tistory.com/154

 

[탄수화물] 카무트의 셀레늄ㅣ착한탄수화물"카무트"ㅣ 카무트 효능과 부작용ㅣ카무트 차 만드는

▶ 카무트의 셀레늄 < https://07-happyhappypop.tistory.com/227 > [셀레늄1편] 셀레늄이란. 셀레늄 부족하면. 셀레늄역할. 셀레늄이 풍부한 음식. 셀레늄 하루 권 활성산소 잡아주는 기적의 원소 셀레늄(Selen

07-happyhappypop.tistory.com

 

3. 효모

누룩가루

발효 시 사용되는 효모는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 단백질 함량이 매우 풍부한데 그중에서도 셀레늄 함량이 높다고 합니다. 또한 효모에서 유래된 셀레늄의 경우'유기셀레늄'이라 하며 무기셀레늄보다 흡수가 매우 잘되고 생체이용률이 높은 고급 셀레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기 셀레늄은 건강기능 식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셀레늄 하루 권장량, 부작용 >

19세 이상 성인의 경우 셀레늄 하루 권장 섭취량은 55 mcg인데 대부분 식단에서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성인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최대치는 하루에 약 400 mcg이며 이것을 넘으면 부작용 위험이 있답니다.

부작용으로는 과량 섭취 시 독성 증상들이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탈모, 손톱 부스러짐, 위장장애, 설사, 메스꺼움, 구토, 무기력증, 간. 신장. 심장의 문제가 생기므로 적당량만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https://07-happyhappypop.tistory.com/226  ▼ ▼

 

[셀레늄2편] 셀레늄이 풍부한 식품. 셀레늄 섭취 방법

< 셀레늄이 풍부한 식품 > 마늘 350g 55μg 브로콜리 큰 것 1개 반 55μg 양파 100g 55μg 카무트 100g 69.3ug 굴 80g 39μg 식빵 100g 28μg 쌀 90g 18μg 계란 50g 8μg 닭고기 60g 25μg 쇠고기 60g 20μg 게 80g 41μg 그 외 셀

07-happyhappypop.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