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리나라 중풍환자 85% 정도는 뇌경색에 의한 허혈성 뇌졸중입니다. 허혈성 뇌졸중은 대부분 전조증상을 보입니다. 전조증상을 미리 알아차린다면 뇌졸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이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짐(뇌출혈)으로써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을 말합니다. 뇌졸중은 뇌혈관 질환과 같은 말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중풍'이라는 말로도 불립니다.

 

☞    [뇌혈관질환]뇌졸중 1편ㅣ뇌졸중 종류ㅣ증상ㅣ원인ㅣ검사 

 

▶ 원인

뇌졸중은 크게 혈관이 막히는(허혈성) 뇌졸중과 혈관이 터지는(출혈성) 뇌졸중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 허혈성 뇌졸중

- 큰동맥죽경화증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에 의해 손상된 혈관 내벽에 콜레스테롤이 침착되면 뇌혈관을 점차 좁게 만들어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게 됩니다. 좁아진 부위로 인하여 혈액공급이 부족하게 되거나, 좁아진 부위에서 혈전(피떡)이 떨어져 나가 먼쪽 혈관을 막아버리거나, 좁아진 것이 심해져 그 자리에서 혈관이 막히는 방법으로 뇌경색이 발생하게 됩니다.
-열공 뇌졸중
뇌의 큰 혈관에서 분지 한 작은 혈관들이 고혈압 등으로 압박을 받으면 혈관이 막혀 뇌경색이 발생합니다.
-심장성 색전증
심장판막질환이나 심방세동, 심근병 등의 심장질환이 있는 경우 심장에서 혈전(피떡)이 만들어져서 뇌로 흘러들어 가 뇌혈관을 막아 뇌경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혈관이 찢어지는 동맥 박리, 염증으로 혈관이 막히는 뇌 혈관염, 유전 혈관질환인 모야모야병, 혈액응고 질환인 진성적혈구 증가증 등 많은 원인이 있습니다.

☞  출혈성 뇌졸중

- 뇌내출혈
죽 경화증이 있는 혈관벽은 신축성이 떨어져서 갑자기 혈압이 오르면 약한 부위가 터지게 됩니다. 이때 터진 동맥에 의하여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받던 뇌의 신경세포들은 혈류 공급이 안되어 손상받게 되고, 주변 세포들은 터져 나온 피에 눌려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됩니다.
- 거미막하 출혈
혈관벽의 약한 부분이 꽈리처럼 부풀어 오르는 것을 동맥류라고 합니다. 동맥류가 터지는 경우 거미막하 출혈이 발생하며 10%가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할 정도로 치명적입니다.

▶ 증상

초기에 올바른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뇌졸중의 증상이나 징후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흔히 나타나는 증상을 열거하자면 반신마비나 감각이상 (한쪽 얼굴이나 한쪽 팔다리에 생깁니다), 두통과 구토, 실어증(말을 못 하거나 못 알아듣게 됩니다), 발음장애, 어지럼증, 걸음걸이의 이상, 시야장애, 복시(두 눈을 뜨고 한 물체를 볼 때 두 개로 보입니다), 음식을 먹거나 물을 삼키기 어려움 등입니다. 뇌졸중이 의심되면 신경과 전문의를 찾아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https://youtu.be/GiWr1M4fJoA

▶ 증풍의 전조증상

1. 엄지와 검지 손가락의 마비감.

2. 간혹 검지 측면인 풍관, 기관, 명관에 검푸른 핏줄.

3. 온몸에 벌레가 스멀스멀 기어 다니는 느낌.

4. 팔, 다리 마비감과 힘이 빠진다.

5. 걸을 때 중심이 자꾸 한쪽으로 쏠린다.

6. 참기 힘든 두통이 자꾸 있다.

7. 말이 어눌해진다.

8. 입술이나 혀가 한쪽 방향으로 쏠린다.

9. 침을 삼키기 어렵거나 침이 종종 흐른다.

10. 물체가 이중으로 보이거나 눈이 침침해진다.

특히 엄지와 검지 손가락의 마비감과 저림 증상이 가장 심각하다고 합니다.

▶ 병원 가기 전 응급처치

십 선혈, 소택혈, 중출혈 자리를 모두 사혈침으로 찔러서 피를 낸 다음 혈압약이나 아스피린을 먹고 2~3시간 안으로 빨리 병원으로 가서 혈전 용액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중풍을 예방하는 혈자리

예풍 혈, 풍지혈, 풍부혈 자리에 자극을 줍니다.(영상 5분 33초 부분에 혈자리 위치와 지압법이 나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