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atNX/btsqZgDyMpb/z2bRZJjrAEThKGfg23Gx91/img.png)
먹기만 하고, 제대로 배설하지 못한다면 우리 몸은 과연 어떻게 될까요? 아마 몸속에 유해한 물질이 쌓여 결국 균형을 잃고 건강을 해치게 될 텐데요. 그래서 이러한 노폐물을 걸러 우리 몸에 유해한 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해주는 기관이 있습니다. 강낭콩 모양에, 팥처럼 붉은빛을 닮았다 해서 ‘콩팥’이라 불리는 ‘생명의 필터’, 바로 신장입니다. 양쪽 옆구리 뒤편에 있는 신장은 척추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마주 보고 있습니다. 보통 성인 주먹만 한 크기의 신장은 길이 약 10cm, 너비 5cm, 두께 3cm 정도이며, 무게는 양쪽 신장을 모두 합쳐서 약 150g 정도 됩니다. 그럼, 신장은 구체적으로 어떤 일들을 할까요? 신장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몸 속의 필터 "신장" 한번 나빠지면 되돌릴 수 없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qKLYM/btsq0w6mA6l/eLCLad3GCRTp0GmFp2gJk1/img.png)
암을 치료하는 동안에 충분한 영양공급을 통해서 환자는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치료에 의한 부작용을 더 잘 극복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켜 주며 항암 치료로 손상된 세포를 빨리 재생시킬 수 있습니다. 암을 치료하는 특별한 식품이나 영양소는 없으며 균형 잡힌 식사로 좋은 영양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충분한 열량과 단백질, 비타민 및 무기질을 공급할 수 있는 식사를 섭취해야 하며, 이는 여러 가지 음식을 골고루 섭취함으로써 가능합니다. 지속 가능한 식습관을 위한 7가지 암과 관련된 식사요인 ▶ 비만 에너지 섭취량이 많거나 운동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섭취하는 에너지보다 소비하는 에너지가 적어 남는 에너지가 체내에서 지방으로 저장이 되는데, 지방이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bkEV/btsqocNPur4/t4k9xpCObGEUYbTj1aGjGK/img.png)
무릎관절염은 무릎 관절 안의 관절 연골이 점차 사라지고, 관절을 이루는 뼈와 관절막, 주변 인대 등에 손상과 염증이 동반되는 질환입니다. 관절 주변에 통증과 변형이 일어나 기능에 장애가 생기고, 적절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통증으로 인해 신체활동 감소뿐만 아니라 자신감의 상실이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심리적인 문제까지도 일으켜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관절 연골은 닳아서 손상되면 자연적으로 회복되거나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최근에 인구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무릎관절염에 걸리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많은 사람들이 무릎관절염에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릎관절염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고, 발생하면 초기부터 치료받고 적절히 관리하여 질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tBseW/btsqm7NJwu4/FKUBCsuzPy8uC3vCf7mTsK/img.jpg)
무릎관절염일 때 피해야 하는 운동 과도한 스쿼트와 런지** 운동, 험하고 힘든 등산, 경사가 심한 산비탈 걷기, 장거리 조깅, 관절에 충격을 주기 쉬운 구기 종목 운동(배구, 농구, 축구, 족구, 테니스)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일상생활 속에서 좋지 않은 생활 습관을 피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30분 이상 같은 자세로 앉아 있는 것은 피하고, 바닥에 장시간 양반다리로 앉거나 쪼그려 앉는 자세를 피해야 합니다. 무거운 물건 들기, 무릎 주변에 찬 바람을 직접 쐬는 것과 장시간 운전하는 것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런지: 한 쪽 다리를 앞으로 내밀고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여 하체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 어떠한 운동이든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낮은 강도와 빈도로 시작하여 점차 늘려가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H8kbb/btsfWWIX96u/V6RfjxkMyavh5VN4ureJT0/img.jpg)
▣고혈압 사망원인 고혈압 환자에서 고혈압 자체가 사망원인은 아닙니다. 그러나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으면 혈관 손상으로 인해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합니다. 고혈압의 주요 합병증에는 심부전,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등이 있습니다. ▶ 고혈압은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을 가장 크게 높이는 위험요인입니다.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액공급의 장애로 생기는 허혈성심질환(협심증, 심근경색 등)이나 심장의 기능저하 상태인 심부전, 그리고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등의 뇌졸중 같은 심뇌혈관질환에는 고혈압이 주요 위험요인이 되며, 특히 뇌졸중과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우리나라처럼 뇌졸중이 많은 발생하는 국가에서는 고혈압의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 합니다. 고혈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아직은 그 원인을 명백히 알 수 없는 본태성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V3pAD/btsmRmzXCnV/P9e7V8ZW6AMb7QTvDmE3zK/img.png)
고혈압의 합병증 예방 증상도 없는데, 왜 혈압약을 먹어야 하나요? ▣ 고혈압이란? 측정한 평균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2022년 고혈압 팩트시트에 의하면 20세 이상 성인 중 약 30%인 1,260만 명이 고혈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 740만 명, 즉 고혈압 인구 중 2/3만이 지속적으로 관리와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고혈압이 있는 인구 중 69.5%만이 본인이 고혈압이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고혈압을 진단받고 치료를 받는 경우는 64.8%입니다. 치료를 하는 경우에도 혈압을 140/90 미만으로 적절히 조절하고 있는 경우는 73.2%(고혈압 치료자 중에 조절률)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특히, 전체 고혈압 유병자를 기준으로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