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gdhZJ/btrcNmjWnmZ/erOmBX9JgPU5e4h88dUgi1/img.jpg)
최근 코로나 19 백신 접종 부작용에 대한 관심으로 혈전(피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혈전이란 혈관이나 심장 속에서 혈액 성분이 국소적으로 응고해서 생기는 응어리를 말한다. 건강한 사람의 혈액은 혈관 속에서 응고하는 일이 없다. 하지만 혈관 내피의 손상이나 염증, 동맥경화 등에 의한 이상, 혈액의 정체, 응고성이 높아진 경우에 그 국소에서 혈전이 생긴다. 혈전이 생기면 그 부분의 혈관을 좁히거나 또는 막아 혈류를 가로막거나 아주 멈추게 하거나 한다. 때로는 벽에서 벗겨져 하류의 혈관을 막아 그 부분의 장애를 일으킨다. 심장 동맥에 혈전이 생기면 심근경색, 뇌에 생기면 뇌 혈전이다. 혈전이 몸속을 떠돌다 폐에 자리 잡으면 폐색전증을 일으켜 사망 위험을 높인다. https://07-happyhappypo..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i0qBP/btrbpVBj0Az/i56reYn7flKG4F7P5a5KQ0/img.jpg)
▶ 혈전 혈소판, 적혈구, 백혈구, 피브린 등이 혈관 내측에 응고한 것을 혈전이라고 한다. 혈관 내에 혈액이 굳어져서 만들어지는 작은 핏덩이로 대부분 혈관 벽에서 발생되어서 혈관 벽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의미로는 면역 반응에 의해서 피가 굳어진 것으로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혈전이 생기게 되면 혈액이 혈액으로서의 역할이 떨어져 혈전이 혈관을 막아서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뇌졸중, 심장마비와 뇌혈관 질환이 나타 날 수 있다. 혈전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는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다양한 인자가 활성화되는데 뇌졸중, 뇌경색의 약 60% 그리고 심근경색, 협심증의 약 40%는 혈전이 원인으로 보고 있다. 특히 혈전이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병이 혈전증으로서 성인병중에서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MCpkA/btq74C4SY8L/uVDmrkKOnnrrtz4YUmKgq1/img.jpg)
세계 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 의하면 적색육의 섭취량이 100g 증가할 때마다 대장암 위험이 17%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ARC는 소고기와 돼지고기 같은 적색육에 대해 대장암을 일으키는 ‘가능한 위험 요소’로 분류하고 있다. 적색육을 많이 섭취하면 대장암 위험이 커진다는 건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적색육이 세포의 변이를 일으키는 방식에 대해서는 여전히 밝혀진 것이 없다. 적색육과 대장암의 연관성을 밝힌 기존의 연구는 주로 역학적인 방법이었다. 즉, 대장암 환자들의 식습관을 조사해 대장암 발병률과 적색육의 연관성을 조사했을 뿐이다. 그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의 경우 적색육과 대장암 간에 강한 연관성이 있다고 확신하지 않는다. 그런데 적색육이 풍부한 식단에 의해 촉..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Hmvik/btq65TUVL6M/DqkLool63409aL4KWHak30/img.jpg)
우리나라 중풍환자 85% 정도는 뇌경색에 의한 허혈성 뇌졸중입니다. 허혈성 뇌졸중은 대부분 전조증상을 보입니다. 전조증상을 미리 알아차린다면 뇌졸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이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짐(뇌출혈)으로써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을 말합니다. 뇌졸중은 뇌혈관 질환과 같은 말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중풍'이라는 말로도 불립니다. ☞ [뇌혈관질환]뇌졸중 1편ㅣ뇌졸중 종류ㅣ증상ㅣ원인ㅣ검사 ▶ 원인 뇌졸중은 크게 혈관이 막히는(허혈성) 뇌졸중과 혈관이 터지는(출혈성) 뇌졸중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 허혈성 뇌졸중 - 큰동맥죽경화증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에 의해 손상된 혈관 내벽에 콜레스테롤이 침착되면 뇌혈관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K5Wt9/btq6xY9rwtn/10VX8Ki27W4DIC9cz6TqNK/img.jpg)
▶ 메니에르병이란 무엇인가요? 메니에르병은 내이에 존재하는 내림프액이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내이 수종을 유발해 어지럼을 일으키는 병으로 40대 전후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여자에게 많으며 가족력도 10 - 20% 정도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이충만감과 이명, 청력 저하가 어지럼과 동반되어 나타난다면 의심할 수 있고 특히 2회 이상 20분 이상 지속되는 어지럼이 있고 청력검사에서 저음부의 청력 저하가 관찰된다면 메니에르병으로 진단하고 치료를 시작하게 됩니다. 다만 어지럼과 함께 이충만감, 이명, 난청 같은 와우 증상을 동반하는 전형적인 메니에르병 외에도 비전형적인 형태로 어지럼 증상만 있는 경우 또는 청력 저하만을 반복적으로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번 발생하면 길게는 5~6년간 증상이 반복적으로 재..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FBDyt/btq415RIVRb/NqsqfxicChG0U5kJpQTKU1/img.jpg)
▶ 갱년기 증후군이란? 주로 폐경 전후 4-50대 여성들의 호르몬 변화와 불균형으로 인해 일어나는 상열감, 우울, 불면, 관절통 등의 다양한 증상을 뜻합니다. 최근에는 스트레스, 과로, 영양 불균형 등으로 인해 40세 이전의 조기 폐경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 체질에 따른 갱년기 증후군의 증상 ≪허약형≫ 눈과 머리가 어지럽고, 귀가 울리며, 허리가 시리고 힘이 없다. 손발이 차지만 상열감이 있고 땀이 난다. 허약형 유형의 환자들은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다. ≪근골격계형≫ 어깨 통증, 요통, 관절통 등 근골격계의 통증이 별다른 이유 없이 다발적으로 발생한다. ≪우울형≫ 정신적으로 우울하고 답답한 것이 주요 증상이다. 가슴과 복부가 그득하고, 화를 잘 내기도 한다. ≪심혈관계형≫ 심장이 두근거리고 가슴이 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