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x6unZ/btrPJo4jcId/dFmbpzBENBUWXuVCFHGb41/img.jpg)
[검사] 뇌는 부위에 따라 각각의 담당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한 부위가 손상을 입을 경우 이에 해당하는 특징적인 신경증상이 발생합니다. 의사는 혈압 등 전신 상태와 의식 상태를 체크하고 다양한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뇌졸중의 발생 여부와 손상의 범위, 손상의 위치 등을 확인합니다. 최근에는 뇌졸중을 진단하고 손상의 위치와 범위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검사들이 개발되어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검사의 종류 ▶ 컴퓨터 단층촬영(CT) CT는 뇌졸중 진단을 위해 가장 흔히 사용하는 검사법으로 X선을 이용하여 신체를 촬영하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신체의 단면 영상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 검사방법의 장점은 비교적 빠른 시간에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뇌출혈 여부를 신속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n2hDv/btrPFzkFsfM/kB1dqzgXV2kj67H8l9q3n0/img.jpg)
뻐근한 목, 거북목 시작인가요? ≪일자목과 거북목≫ 정상적인 목은 앞으로 휘어지는 정상적인 곡선을 가지게 됩니다. 목의 정상 곡선은 아이가 태어나서 고개를 가누기 시작할 때부터 생기며 경추 전만*이라고 부릅니다. 가장 자연스럽고도 정상적인 목뼈의 정열 상태입니다. 경추 전만이 있어야 앉거나 서 있을 때 머리의 무게가 목뼈의 중심을 지나게 되어 목 디스크에 걸리는 압력을 가장 줄여줍니다. 일자목이란 목 디스크가 손상되면서 정상 C 커브가 소실되어 목뼈들이 일직선이 된 상태입니다. 일자목이 되면 목의 움직임은 30%가량 줄어들고 목 디스크에 걸리는 압력이 많게는 90%까지 증가됩니다. 경추 전만 ☞ 사람이 앉거나 서 있을 때 목에 생기는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앞으로 약간 볼록하게 나옴 거북목은 허리와 위 등,..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FiGR/btrPh8VFulZ/P33tqhRPyV0MtT7UX9g67k/img.jpg)
https://youtu.be/OI9gVj05Fag ▶ 유방암 자가진단법 "유방암 자가진단법: 자가진단은 매달 1회씩" 폐경전 여성은 생리 끝난 날로부터 1주일 후 폐경 후 여성은 매월 1일 1단계 : 거울 앞에서 살펴보세요. 거울 앞에 서서 양쪽 유방 크기, 전체적인 윤곽, 좌우 대칭, 피부의 이상 및 색깔, 유두의 방향, 유두나 피부의 함몰 등을 살핍니다. 손을 머리 위로 올린 채 유방을 관찰하고 몸을 좌우로 돌리며 살핍니다. 손을 허리에 얹고 어깨를 앞쪽으로 기울인 채 유방을 살핍니다. 2단계 : 서서 만져보세요. 왼팔을 머리 뒤로 올리고 크림을 바른 오른쪽 세 손가락 끝마디 부분으로 아래 그림처럼 시계 방향으로 유방의 외각에서 유두 쪽으로 원을 그리고, 쓸어 올리거나 내리면서 만져 유방 전부를 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5gEyN/btrPfX10ysR/x65G0Ui2kGuMFUrN10T3Nk/img.jpg)
출처: 질병관리청 ▶ 정의 폐 혈전색전증은 다리에 있는 굵은 정맥에 생긴 핏덩어리(혈전)가 떨어진 후 혈류를 타고 돌아다니다가 가느다란 폐동맥 혈관 가지를 막음으로써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폐동맥 가지가 핏덩어리로 막히고 막힌 부위에 공기가 들어와도 기체 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핏속의 산소가 부족해집니다. 그리고 폐순환 중 오른쪽 심장에서 피를 보낼 때의 저항이 높아져 심장에도 부담이 가해집니다. ▶ 원인 폐 혈전색전증을 유발하는 위험 요인으로는 고령, 수술, 외상, 부동, 마비, 암 또는 항암 치료, 색전증의 과거력 및 가족력이 있습니다. 이외에 임신 또는 최근 출산력, 경구 피임약 복용 또는 호르몬 대체 요법, 심부전, 호흡 부전, 신부전 등 내과적 질환이 있으며 비만, 흡연, 중심 정맥관 등도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3ryKR/btrPgEguXux/rF85bnl2TxASSV48H80Db0/img.jpg)
1. 부모님이 심근경색증이라 나도 위험한 거죠? 건강검진에서 혈압이 경계선보다 높다면 상담을 위하여 진료실을 방문합니다. 부모님이 심근경색증인 가족력이 있어 걱정이 될 때 흔히 다음과 같은 대화를 나눕니다. 000님: “부모님이 심근경색증이라 저도 위험한 거죠?” 의료진: “부모님 몇 살에 심근경색증이 발생했나요?” 000님: “연세가 한 70세 정도이셨습니다.” 의료진: “가족력이 있으신 건 맞지만, 본인이 더 위험하지는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이번에는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의 각종 심뇌혈관질환이 잘 생길 수 있는 ‘주요 심뇌혈관계 위험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글을 읽으신 후 나의 주요 위험인자가 몇 개 인지 스스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 심뇌혈관계 위험인자 ☞ 위험인자가 뭔가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8U9b5/btrPhoLan3t/fJT7ZcFkIBtgUAvHu87S1K/img.jpg)
5. 연령에 따른 심뇌혈관 위험도 ☞ 젊은 나이는 심뇌혈관질환이 왜 안 생기죠? “30대 이상부터 심뇌혈관계 질환 위험이 증가하기 시작하므로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에 대하여 20~30대 젊은 나이부터 꾸준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령의 증가는 교정이 불가능한 위험인자입니다. 30대 이상 성인부터 심뇌혈관계 질환 위험이 증가하기 시작합니다.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이 생긴 지 10여 년이 지나면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각종 심뇌혈관계 합병증도 증가합니다. 또한 고혈압/이상지질혈증 및 협심증/심근경색증/뇌졸중 등의 모든 심뇌혈관계질환은 남녀 모두 40대 이상부터 급격히 증가하게 됩니다. 30대에서 심뇌혈관계 질환의 유병률이 10% 정도이지만, 40대에선 약 20%, 50대에선 약 40%,..